한국의 노후 대비 현실과 연금제도: 현황 및 향후 대책
1. 현실적인 노후 준비의 어려움
OECD에서 발표한 노인 빈곤율에서 한국은 가장 위에 랭크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70세가 넘어도 생활비 마련을 위해 계속 일해야 하는 노인이 늘어나고 있다. 통계청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월평균 연금 수급액이 60만 원에 불과하다는 충격적인 결과가 나왔다.
2. 연금 수급 현황
지난 2021년 기준으로, 65세 이상 내국인 862만 명 중 777만 명이 어떤 연금이라도 받고 있다. 이는 전체의 90.1%에 해당한다. 그러나 그 수량에 비해,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60만 원에 불과하며, 이는 최저생계비의 55%에 불과하다. 특히, 연금 수급자 중 89%는 월 100만 원도 받지 못하고, 5명 중 1명은 25만 원 미만을 받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3. 여성과 고령층의 연금 수급 격차
여성의 경우 연금 수급액은 남성의 57% 수준에 불과하며, 나이가 많을수록 수급액은 더욱 급감한다. 80세 이상의 월평균 수령액은 47만 원으로, 기초 연금만을 받는 고령층이 많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4. 청장년층의 노후 대비 문제
앞으로 노인이 될 청장년층도 연금에 대한 대비가 부족하다. 2021년 기준 18-59세 연령층 중 78.8%만이 연금에 가입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2개 이상 연금에 가입한 비율은 32.3%에 불과하다. 또한, 이 연령층 중 21%는 연금 미가입자로, 특히 청년층의 연금 미가입률은 38.9%로 굉장히 높게 나타났다.
5. 전문가의 의견과 제안
청장년층, 특히 곧 노령층으로 진입할 세대를 대상으로 한 연금제도의 보완이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연금의 다층 구조를 만들어 소득 계층별로 차별화된 정책을 만들어야 하며, 퇴직연금의 중도 해지 요건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결론
한국의 연금제도와 노후 준비 문제는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청장년층의 연금 미가입률이 높아지는 상황에서는 더욱 강력한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연금제도 개편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정책 기획자와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어 더 나은 노후 대비 방안을 마련해 나가기를 바란다.
[취재앤팩트] '연금 부족' 앞으로도 문제...다층구조 만들려면?
[앵커] OECD 최고 노인 빈곤율 속에 나이 70이 넘어서도 생활비 마련을 위해 일을 해야만 하는 게 현실입니다. 통계청이 어제 우리 국민의 모든 공적, 사적 연금 데이터를 합해 처음으로 연금통계
v.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