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연금개혁안] 국민연금 위기 앞둔 한국의 초저출산 현상정보 2023. 10. 25. 18:11728x90반응형
역대 최저의 출산율, 국민연금의 미래는?
고령인구 반응형1. 국민연금 제도의 중요성과 운용 방식
국민연금 제도는 세대 간 이전을 바탕으로 설계되었으며, 젊은 세대의 보험료 납부가 노인 세대의 노후 소득을 보전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저출생 및 고령화 현상이 심화될 경우 재정안정성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
2. 역대 최저의 출산율
지난 8월에는 태어난 아이가 약 1만8900명에 불과하며, 이는 역대 최소치로 기록되었다. 15년 사이에 출생아 수가 절반 이하로 감소한 것이다.
이에 따라, 합계출산율은 2024년에 0.7명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OECD 최저치로, 이러한 저출산 추세가 지속될 경우 국민연금의 재정 안정성에 큰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3. 현재의 국민연금 위기
국민연금 5차 재정계산위원회에 따르면, 현재 9%의 보험료율과 40%의 소득대체율을 유지할 경우, 연금기금은 2041년부터 적자를 보이며, 2055년에는 고갈될 것으로 예상된다.
보험료율을 15%로 인상할 경우, 이 시점은 각각 2053년과 2071년으로 미룰 수 있다.
4. 앞으로의 방향성
계산위원들은 보험료율 인상이 필요하다는 공통된 의견을 내놓았다.
보험료율을 15%까지 올리는 것에 동의한 계산위원이 6명이며, 일부 위원은 최대 20%까지의 인상을 주장하였다.
세대 간 형평성을 유지하기 위해 보험료율 인상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5. 결론
국민연금 제도의 재정 안정성을 유지하려면, 저출산 및 고령화 현상의 대처와 함께 보험료율 인상이 필요하다.
세대 간의 형평성을 위해 보험료율 인상은 필수적인 조치로 여겨진다.
참고 기사
8월 신생아 또 역대 최소 … 국민연금 2055년 고갈도 '장밋빛 전망'
◆ 연금개혁 ◆ 정부가 국민연금 개혁안 발표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지난 8월 태어난 아이가 약 1만8900명에 불과해 역대 최소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 제도는 세대 간 이전을 바탕
v.daum.net
728x90반응형LIS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노후 대비 현실과 연금제도: 현황 및 향후 대책 (0) 2023.10.27 [통계청] 초고령 시대 연금통계 개발로 노인빈곤 해소 방안 제시, 65세 이상 내국인 10명 중 1명 연금 혜택 없어, 연금 수급률 90.1% 달성! (0) 2023.10.26 중소기업 및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 급등, 금융시장의 경고등? (1) 2023.10.25 [중대재해처벌법] 중대재해처벌법 문제 및 향후 개선과제 관련 내용 (1) 2023.10.23 2022년 한국 사망원인 통계 : 암, 자살, 치매 그리고 코로나19 (0) 2023.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