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험업계 상반기 실적 및 전망 분석정보 2023. 8. 17. 15:34728x90반응형
보험업계 상반기 설적 및 전망 분석 1. 보험업계 주요 실적: 상승세 그대로
2023년 상반기, 대한민국의 보험업계는 전반적인 호실적을 보였습니다.
대표적인 대형 손해보험사 5곳의 실적을 살펴보면, 그들의 순이익 총합은 4조740억원에 이르며, 지난해 대비 54.47%나 증가한 수치입니다.
특히, 삼성화재와 메리츠화재는 각각 1조2151억원과 8390억원의 순이익을 기록, 27.4% 및 25.2%의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놀랍게도 롯데손해보험은 전년 대비 137.89%의 엄청난 성장률로 1130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상반기의 주요 주목 받을 만한 업체로 부상하였습니다.
생명보험사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삼성생명, 한화생명, 교보생명의 실적을 살펴보면 각각 9742억원, 7037억원, 6715억원의 순이익 증가를 기록하였습니다.
보험사 2. IFRS17 신회계제도의 영향
이러한 호황의 배경 중 하나로 IFRS17 신회계제도의 도입이 지목됩니다.
특히, 계약서비스마진(CSM)의 변화가 보험업계의 실적 호황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이는 '단기납 종신보험'과 같은 상품 판매 화두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CSM 문제가 현재 보험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IFRS17 3. 금융감독원의 조치
그러나 이러한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실적 부풀리기'의 의혹이 제기되며, 금융감독원은 가이드라인 제시 및 감독 조치를 시행하였습니다.
특히, 보험 상품에 대한 제한 조치도 함께 시행되어 보험업계에 적지 않은 충격을 주었습니다.
이에 따라 보수적인 계리 가정에 따른 가이드라인 적용이 이루어졌으며, 여러 보험사들이 이를 따르기 위한 준비를 강화하였습니다.
4. 보험업계의 전망
보험업계 전문가들은 현재의 고금리 기조가 지속될 경우, 투자 수익률 및 연금저축 상품에서의 수익이 예상됩니다.
수익 증가 폭에는 일정한 변동이 있겠지만, 전반적인 성장 흐름은 유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반응형결론
2023년 상반기 보험업계는 호황을 누리며 큰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신회계제도 도입과 함께 변화하는 시장 환경, 그리고 국내외 여러 요인들이 보험업계의 미래를 예측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본적인 성장 흐름과 함께 보험업계가 겪는 여러 변화와 도전은 결국 소비자와 업계 모두에게 더 나은 서비스와 제품을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728x90반응형LIS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무사의 "해고와 권고사직" (0) 2023.08.21 [네이처 "LK-99 초전도체 아니다] LK-99 초전도체 논란 탐구, 초전도체 현상은 불순물 때문 (15) 2023.08.17 [2023년 가상화폐 규제] 2023년 12월 31일 부터 시행 자금세탁, 테러자금조달, 투자자 피해 예방. (0) 2023.08.17 중대재해처벌법 확대 적용에 따른 중소기업계의 미래와 고려 사항 (0) 2023.08.16 ESG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ESG 공시 제3자 검증 동향 (6) 2023.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