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중대재해처벌법 확대 적용에 따른 중소기업계의 미래와 고려 사항

동그란 세상 2023. 8. 16. 17:22
728x90
반응형

중대재해처벌법
중대재해처벌법 확대 적용

서론

내년부터 50인 미만 사업장에도 확대 적용될 예정인 ‘중대재해처벌법’의 개정안이 발표되면서, 사업장의 안전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 법안은 원래 상시 노동자 50인 이상의 사업장을 대상으로 했으나, 확대 적용에 따른 중소기업의 부담과 그로 인한 사회적 영향이 크게 논의되고 있다.

중대재해처벌법의 확대 적용 배경

지난 2021년, 더불어민주당이 중대재해처벌법을 강행 처리하여 상시 노동자 50인 이상 사업장에서 중대재해가 발생할 경우, 사고 예방 의무를 다하지 않은 사업주와 경영책임자에게 징역이나 벌금을 부과하는 내용의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은 사업주들에게 사고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노동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
(사진=중소기업중앙회)

중소기업에 대한 부담과 요구

곽인학 한국금속패널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은 이 법의 확대 적용에 따른 중소기업의 부담을 언급하면서, 현재의 특수한 상황, 즉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기업의 존폐가 위기에 처해 있어 추가적인 준비 시간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50인 미만 사업장의 안전 관리자 수가 평균적으로 0.6명에 불과하다는 데이터를 제시하며,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을 촉구했다.

정부와 민주당의 대응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중소기업들의 이러한 요구에 대해 “법안의 적용과 중소기업의 현실적 상황을 함께 고려하여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의 안전 문제와 기업의 경쟁력 및 노동 환경 개선 사이에서 균형을 찾아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반응형

결론

중대재해처벌법의 확대 적용은 노동자의 안전을 위한 중요한 제도적 장치로, 그 중요성은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현실적인 중소기업의 상황과 그들의 요구를 함께 고려하여, 탄력적인 정책 집행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정부와 관련 기관은 중소기업의 안전과 경영의 양면을 동시에 고려한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기업의 준비와 대응방법

중대재해처벌법의 도래 경영자와 시민 모두를 위한 새로운 시작인가? 중대재해처벌법이 지난 1월 7일 국회를 통과하면서 산업 안전 분야의 새로운 선례가 마련되었습니다. 그동안의 서론호 참

round-world.tistory.com

 

 

김창영 교수의 "화재보험에서의 보험가액에 대한 이해"

화재보험(화재 보험)에서 보험가액(Insurable Value)은 보험계약의 목적인 피보험이익, 즉 피보험자의 경제적 이해관계를 금전적으로 평가한 가액을 말합니다. 이는 화재사고가 발생했을 때 해당 장

round-world.tistory.com

 

 

[전사적리스크관리]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처벌법 비교 분석 및 전사적리스크관리란?'

1.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안전보건법은 1981년 12월 31일에 제정된 법률로서, 산업안전과 보건에 관한 기준의 확립과 유지·증진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 법은 근로기준법과 함께 산업재해 예방을 위

round-world.tistory.com

 

728x90
반응형
LIST